0 komentar

Types Of Chocolate


초콜릿의 종류

1. 배합에 의한 분류

초콜릿

코코아 원료에 당류,유지, 유가공품, 식품 또는 식품 첨가물 등을 가하여 가공한 것으로, 코코아 고형분 함량 35% 이상(코코아 버터 18% 이상, 무지방 코코아 고형분 14% 이상)인 것을 말합니다.

스위트초콜릿

코코아 원료에 당류, 유지, 유가공품, 식품 또는 식품 첨가물 등을 가하여 가공한 것으로, 코코아 고형분 함량 30% 이상(코코아 버터 18%이상, 무지방 코코아 고형분 12%이상)인 것을 말합니다.

밀크초콜릿

코코아 원료에 당류, 유지, 유가공품, 식품 또는 식품 첨가물 등을 가하여 가공한 것으로, 코코아 고형분 함량 25% 이상(무지방 코코아 고형분 2.5% 이상)인 것을 말합니다. 유고형분은 유지방을 첨가하거나 제거하는 것을 제외하고, 유성분들의 각자 자연적인 비율에 따른 첨가를 말합니다.

패밀리밀크 초콜릿

코코아 원료에 당류, 유지, 유가공품, 식품 또는 식품 첨가물 등을 가하여 가공한 것으로, 코코아 고형분을 20% 이상(무지방  코코아 고형분 2.5% 이상) 함유하고, 유고형분이 20% 이상(유지방5% 이상)인 것을 말합니다.

화이트 초콜릿

코코아 원료에 당류, 유지, 유가공품, 식품 또는 식품 첨가물 등을 가하여 가공한 것으로, 코코아 버터를 20% 이상 함유하고, 유고형분이 14%인 것을 말합니다. 밀크 성분으로 인해 백색을 띠거나 색소 첨가로 여러가지 색상을 부여합니다.

준초콜릿

코코아원료에 당류, 유지, 유가공품, 식품 또는 식품 첨가물 등을 가하여 가공한 것으로, 코코아 고형분 함량이 7%이상인 것을 말합니다.

초콜릿 가공품

Nuts류, Candy류, 비스킷류 등 식용 가능한 식품에 초콜릿 또는 준초콜릿의 초콜릿류를 혼합, 피복, 충전, 집합 등의 방법으로 가공한 것을 말합니다.



2. 형태 및 제조방법에 의한 분류

판초콜릿

주로 초콜릿을 판모양으로 만든 것으로, 초콜릿의 기본입니다. 영어로는 초콜릿 바(a bar of chocolate)라 합니다. 카카오 매스에 설탕과 필요한 카카오 버터를 가해 잘 혼합하고 입자를 미세하게 한 것을 틀에 흘려 넣어 냉각한 다음 소정의 형태로 포장한 것 입니다.

셀(Shell)초콜릿

초콜릿을 형틀에 흘려 넣고 셀(각)을 만들고 이 안에 크림, 잼, 너트류, 과일류 등을 넣고 다시 초콜릿으로 덮개를 한 것입니다.

피복(Enrobing) 초콜릿
  
코팅 또는 covering, 때로는 enrobing초콜릿 등으로 말해지는 초콜릿으로 각종 비스켓이나 웨하스 등 과자류, 너트류, 과일류를 중심으로 하여 그 위에 초콜릿을 입힌 것 입니다.

볼 초콜릿 (Chocolate coating goods)
  
너트류, 캔디류 등에 초콜릿 생지를 회전 솥 중에서 coating 하여 만든 입상의 초콜릿입니다. 아몬드초콜릿, 피넛 초콜릿, 마블 초콜릿 등의 제품에서 볼 수 있습니다.

몰드 또는 홀(Hole) 초콜릿
   
중앙이 비어 있고 이 안에 초콜릿 이외의 물질을 넣은 것으로, 입체형을 한 초콜릿입니다.

봉봉 초콜릿 (프랑스: bonbon,  영국: boiled sweet)
   
한입 크기의 초콜릿을 총칭합니다. 프랑스에서는 봉봉 오 쇼콜라(bonbon au chocolat), 벨기에에서는 프랄리네(praline)로 불리우며 가운데 몸체에 따라 형태가 다양합니다. ( 예: 가나쉐, 프랄리네, 마지판)

가나슈(ganache)초콜릿
  
녹인 초콜릿에 생크림을 가하거나 가열한 생크림에 초콜릿을 녹여 만든 입에서 녹기 좋은 초콜릿입니다. 트루푸의 중심등으로 사용되며 ' 생초콜릿' 이라고도 합니다.

프랄린 초콜릿 (프랑스: puraline , 영국: praline)
  
설탕을 가열하여 카라멜상으로 하고 볶음 아몬드나 헤즐넛을 혼합시켜 페이스트 상으로 하고 여기에 용해한 초콜릿에 혼합시킨 것을 말합니다.

마지판 초콜릿 (프랑스: pate damandes , 영국: marzipan)
   
볶지 않은 아몬드를 부수고, 설탕을 혼합시켜서 페이스트 상으로 한 것 입니다.
read more
0 komentar

Chocolate Story


초콜릿 이야기


초콜릿(Chocolate) 카카오빈으로 만들어진 카카오 원료에 여러가지 재료를 배합해서 만든 소형 초콜릿 과자입니다.
               
한마디로 초콜릿이라 말하지만 종류가 대단히 많고 복잡하며 나라마다 정의  규격 등이 다양합니다.

'미국'에서는 'Chocolate(초콜릿)', '프랑스'에서는 'Bonbons au chocolat(봉봉  쇼콜라)', '벨기에'에서는 'Praline(프랄린)' 등의 명칭으로 다양하게 불리고 있습니다.



초콜릿의 어원
 초콜릿(Chocolate)이라는 말은 멕시코의 아즈텍(Aztec) 언어인 나후아툴(Nahuatl)어로 '쇼코라툴{Xocolatl, 쇼코(xococ : 쓰다) 아툴(atl : ) 합성어로 ' 맛이 나는 ' 의미}'이란 말에서 유래되었다고 합니다. < Chocolate comes from the Aztec word Xocolatl (pronounced sho-ko-la-tul) and is derived from their native language, Nahuatl.Xococ translates as “bitter” and atl means water. So Xocolatl literally translates to “Bitter Water". > 

아즈텍인들은 초콜릿을 풍요의 여신인 '쇼치케짤(Xochiquetzal)'과도 연관시켰고, 마야인들도 자기네들의 풍요의 신과 연관지었습니다.
< 1. 마야의 카카오     2. 아즈텍의 풍요의 여신 쇼치케짤    3. 고대 멕시코인들이 사용하던

이그나시오 다빌라 가리비(Ignacio Davila Garibi) 멕시코 문헌학자가 스페인 정복자들이 마야어인 '쇼코'에다 물을 뜻하는 마야어 '(haa)' 대신 아즈텍어인 '아툴(atl)' 합성해 만든 단어에서 유래된 것이라 주장하고 있으나, 아즈텍인들 자신이 '카카오' 열매에 해당되는 마야어를 자신들의 언어에 가져와 오랫동안 사용하면서 새로 단어를 조합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왜냐하면, 스페인 정복자 코르테스가 스페인 국왕에게 쇼코라툴을 소개하기 전까지는 스페인인들이 마야인들과 접촉을 기회가 거의 없었기 때문입니다.

반면, 마이클 코우(Michael D. Coe) 교수['초콜릿의 진정한 역사' 공동저자] '쇼코라툴'이란 단어가 확실히 어떤 고대 나후아툴어나 아즈텍 고대 사료에 나온 없다고 반박하고 있는데, 결과적으로 어느 것이 정답인지는 딱히 말할 없을 같습니다.^^

초콜릿의 기원                         

최초의 초콜릿은 지금까지의 자료를 살펴봤을 기원전 1400년경에 시작된 것으로 보입니다. 최근 고고학자들이 기원전 1400년에서 1100 사이 온두라스의 푸에르토 에스콘디도 지방에서 카카오 경작이 이루어졌다는 증거와 함께 카카오를 사용한 흔적, 초콜릿 잔여물이 토기를 발견했다고 발표(2007 11)하였습니다. 잔해를 조사한 결과 이들이 카카오를 음료로만 사용한 것이 아니라 카카오 빈을 둘러싼 하얀 펄프껍질을 술을 제조하기 위한 가당제로도 사용한 같다고 추측하고 있습니다. 벨리즈(중남미의 조그만 국가임)에서 기원전600~400 경으로 추정되는 토기에 초콜릿의 잔여물이 발견됐으며, 또한 과테말라 북부에 있는, 리오 아술의 고대 마야(서기400년경) 토기에서도 똑같은 초콜릿 잔여물이 발견된 것으로 미루어볼 매우 오랜 세월에 걸쳐 중남미인들이 초콜릿을 즐겼던 것으로 추측됩니다.

마야인들은 카카오 빈과 옥수수, 칠리고추를 썩혀 발효시킨 후에 이를 볶아 가루로 만들어 쏘는 맛과 쓰고도 달콤한 맛이 나는 음료로 빗여내어, 여러 중요한 행사에 쓰려고 보관해 두거나 부자들과 종교 지도자들의 음료로 사용되었으며, 그들은 카카오를 오트밀과 곁들여 죽의 형태로도 먹었다고 전해집니다.
               
15세기말 신대륙(유럽인들이 아메리카 대륙을 처음 발견하고 붙인 이름)시대로 들어와 여전히 아즈텍과 마야 문명을 중심으로 아메리카 대륙의 원주민들이 초콜릿 음료(쇼코라툴) 마셨는데, 가끔 바닐라, 칠리 고추, 아치오테(아나트 열매) 옥수수 녹말 페이스트 이외에 다양한 과일과 꿀과 섞어 마셨다고 전해집니다. 쇼콜라툴이 피로회복 효과가 뛰어난 것은 당시 원주민들 사이에서도 알려져 있었습니다. (이는 카카오에 들어있는 테오브로민 성분 때문입니다.)

아즈텍인들은 관개시설과 농장을 경영하며 카카오를 재배하고 있었습니다. 당시의 카카오 빈은 중앙아메리카 전역에서 매우 귀한 고급품이어서 아즈텍의 왕족과 귀족들만이 주로 즐겨먹을 있었고 하층민들의 경우에는 구하기 매우 어려웠다고 한합니다. 이런 귀한 카카오 빈은 화폐로 사용되기도 하였는데 예를 들면, 아보카도 개에는  알의 카카오 빈이, 칠면조 하나에 알의 카카오 빈이, 토끼 마리에는 알의 카카오 빈이, 노새 마리에는 오십 , 칠면조 마리나 노예 사람에게는 알의 카카오 빈이 거래되었다 합니다. 또한 세금과 공물로도 카카오 빈이 사용되었다고 전해집니다




< 1. 마야인과 쇼코라툴       2. 아즈텍인의 쇼코라툴 제조과정  >

초콜릿의 전파와 발전

초콜릿의 발견

역사적으로 초콜릿이 유럽으로 처음 유입되는 것은 1502년 크리스토퍼 콜럼버스가 4번째 유카탄 반도 탐험에서 원주민들에게서 빼앗은 카누에 있던 카카오 열매를 가지고 유럽으로 돌아간 것이 그 시초입니다. 콜럼버스는 에스파냐 왕에게 카카오를 바쳤지만, 쓴 맛의 카카오 열매는 유럽인들에게 독특한 맛의 향신료 이상의 의미를 지니기 어려웠습니다.

초기 초콜릿의 전파

1519년 스페인의 에르난도 코르테스(Hernan Cortés) 장군이 아즈텍을 점령한 후, 몬테수마 2세의 궁정에서 카카오 열매를 빻아서 만든 매운 음료를 대접받게 됐는데, 이것이 바로 '신이 마시는 음식'인 카카오 음료 '쇼코라툴'이였습니다.1520년 코르테스 장군은 스페인으로 돌아갈 때 카카오 열매를 대량으로 갖고 갔으며(당시 그의 보고에 의하면 피로회복력이 뛰어난 쇼코라툴 때문에 자신의 군대가 정복활동을 빨리 진행할 수 있었다고 합니다.), 이후 스페인 왕족과 귀족들에게 카카오가 큰 인기를 얻었고 국가가 독점적으로 사업도 벌여 재정 확충에 큰 힘을 얻게 되었습니다. 초콜릿은 특권층을 중심으로 퍼져나갔고, 마시는 형태로 발전하여 특권층의 향락과 수많은 로맨스에 이용되었음이 그 당시의 문학과 미술작품 등에 번번히 등장하고 있습니다. 카카오는 스페인 식민지였던 멕시코, 에콰도르, 베네수엘라, 페루, 자메이카, 도미니카공화국 등지로 그 생산지가 확대되어 전세계로 퍼져나가게 되었습니다. 1580년에는 스페인에 카카오 나무가 처음으로 심어졌으며, 그 이후 아프리카, 라틴 아메리카, 동남아시아를 중심으로 초콜릿 생산지가 확대 되었습니다. 1588년에는 의학적 용도의 초콜릿 공장이 처음 세워졌습니다.
< 아즈텍 왕 몬테수마 2세(Montezuma Ⅱ)와 정복자 코르테스(Hernan Cortés)의 만남(1519년) >

유럽으로의 전파 

스페인 무역선이 홀랜드(네덜란드) 해적선에 탈취를 당해 카카오가 홀랜드에도 전해지고, 이탈리아에서는 카카오를 강장제로 받아 들였으며 프랑스에도 전달되어 프랑스 왕실이 카카오를 애용하게 되는 등 무역이나 귀족 간의 결혼 등을 통해 초콜릿이 빠르게 유럽으로 확산되었습니다. 영국에서는 초콜릿 하우스(1657년)가 처음으로 생겨나 유행하였고 정치가, 예술가들은 초콜릿을 마시며 토론하기를 즐겼으며 독일과 스위스로도 초콜릿은 전파되었습니다. 이후 1660년대 부터 프랑스가 서인도 제도의 마루디닉이란 섬에서 카카오를 재배하기 시작하여 1679년에는 수확된 카카오를 가지고 유럽으로 수출 판매하기도 하고, 남아메리카로 계속 재배지를 늘려나가기 시작 하였습니다.
< 1657년 영국에서 생겨난 초콜릿 하우스, 아직도 보존되어 영업을 하고 있습니다. >

대중으로의 전파와 기술개발

1689년에는 저명한 의사이자 수집가인 한스 슬로안(Hans Slane)이 처음으로 자메이카 지방에서 우유를 탄 초콜릿 음료를 개발하여 약으로 사용하였는데, 이를 캐드배리(Cadbury) 형제가 일반 대중에게 판매하기 시작하였습니다.
19세기 들어서 초콜릿은 제조 기술의 발달로 대량생산이 가능해져 대중에게 전파하게 됩니다. 1819년 알렉산더 가이라가 최초로 초콜릿 혼합기를 발명하였고, 1825년 근대 초콜릿의 아버지라 불리는 네덜란드의 반호텐(Van Houten)이 물에 잘 풀어지는 카카오 버터 착유방법과 코코아 분말을 얻는 방법을 고안하면서 최초로 초콜릿을 고체화하는데 성공하였습니다. 1828년 초콜릿 리퀴드에 설탕과 코코아버터를 혼합하여 형틀에 넣어 굳힌 '판 초콜릿'이 등장했습니다. 이탈리아에서는 '잔두야(초콜릿+미세한 헤이즐넛 가루를 섞은 초콜릿)'를 개발하였고, 1876년 밀크 초콜릿의 대부인 스위스의 다니엘 피터(Daniel Peter)가 우유를 첨가한 '밀크 초콜릿'을 개발하여 오늘날의 밀크 초콜릿 산업의 문이 열리게 되었습니다.
< 왼쪽 사진부터 초콜릿을 처음으로 대중에게 판매한 '캐드배리(John Cadbury, 1801~1889)', 근대 초콜릿의 아버지라 불리는 '반 호텐(Coenraod Johannes Van Houten, 1801~1887)', 밀크 초콜릿의 대부 '다니엘 피터(Daniel Peter, 1836~1919)', 다니엘 피터에 의해 밀크 초콜릿이 처음 만들어진 장소 >

북미로의 전파

영국의 청도교들이 북미로 이주할 때, 커피와 함께 초콜릿을 들여 왔습니다. 지금은 전체 초콜릿 생산의 반을 소비하는 거대 시장으로 발전했습니다. 

우리나라로의 전파

우리나라에서는 외국인 요리사 손탁씨에 의하여 대한제국 말기에 황실에 처음 소개되었고, 그 후 일본제품과 미국제품들이 들어 오게 되었으며, 순수 우리 기술로 만든 초콜릿은 1968년 해태제과에 의해 시작 되었습니다.

초콜릿의 가치상승

벨기에의  장인 노이하우스(Jean Neuhaus)에 의해 다양한 맛과 모양의 한 입 크기의 초콜릿 '프랄린(Praline)'이 탄생하게 되면서, 초콜릿은 영양학적 가치와 기호식품으로써의 가치상승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마시는 초콜릿에서 고체 판형 초콜릿으로, 그리고, 한 입 크기의 초콜릿 '프랄린'으로 발전을 거듭한 초콜릿은 특별한 기호 식품으로, 특수 산업으로 문화, 예술과 함께하면서 유럽에서 성공적으로 보급되었고, 초콜릿의 수요가 늘면서 세계각국에서 카카오 나무를 재배하게 되므로써 카카오는 설탕, 커피에 이어 세계 제3대 무역상품이 되었습니다.





read more